본문 바로가기

불교이야기

[스크랩] 어딯서 도량을 찾을건가

현재에서 만족하는 자세가 삶의 완성

가까운 가족.직장 동료와 인연이 행복

현실에 적응하며 느끼는 자각이 자유

한국은 임제종 계열인 간화선이 주축을 이루는 반면 일본은 선종으로는 임제종.황벽종.조동종 등이다. 일본에서 선종의 큰 일파를 이루고 있는 종파가 조동종으로 종조가 도오겐(道元, 1200~1253)선사이다. 도오겐은 1223년 스승 메이젠(明全)과 함께 송나라로 들어갔다. 도오겐은 배에서 바로 내리지 않고 한동안 배안에서 머물며 송나라 사찰과 승려들의 동정을 살피고 있었다.

도오겐은 마침 일본 상인에게 표고버섯을 사기 위해 아육왕산에서 온 늙은 전좌(부엌일을 담당)스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날이 어두워지자 도오겐은 전좌 스님에게 하루 묵기를 권했더니, 스님께서 말했다.

“내가 없으면 대중스님들의 공양에 차질이 생기게 됩니다.”

“스님 한 분 안 계신다고 공양에 무슨 큰 차질까지 생기겠습니까? 스님께서는 매우 연로해 보이는데, 좌선을 하든지 경전이나 어록을 보시면서 편하게 수행하셔도 될 것 같은데, 왜 힘들게 부엌에서 일을 하십니까?”

“이국에서 온 젊은이여! 그대는 아직도 수행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문자라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것 같군.”

“그럼 수행이 무엇이며, 문자라는 것은 무엇입니까?”

“지금 그대가 질문하며 서 있는 발밑을 헛디디지 않으면 그 사람은 곧 진실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네.”

수행이 곧 삶이요, 삶이 곧 수행임을 보여주는 귀감이 되는 이야기다. 도오겐에게 이 전좌 스님은 평생 동안 잊지 못하는 스승 가운데 한 분이었다고 한다. 실은 이 전좌 스님은 내게도 도오겐 못지않게 존경하는 선사 가운데 한분이다.

근래에 존경받는 스님은 한 소식해야 하고, 세속의 학벌도 갖춰야 하며, 명함에 빼곡이 들어찬 프로필로 그 승려의 수행면모를 평가하기도 한다. 전좌 스님처럼 하찮은 부엌일조차도 수행이라 여기고, 자신의 수행보다 대중 수호를 방편으로 여기는 진실함이 부족한 것이 현 시대의 기류가 아닌가 싶다. 근현대 중국 선종의 선지식인 허운(1840~1959) 선사는 120세까지 살았다. 허운은 임제종의 법맥을 받은 선사였지만, 90여세의 고령에도 늘 밭에서 노동을 하셨고, 그 노동으로 얻은 이윤을 중생들에게 돌렸다.

우리는 수행이라는 것을 너무 멀리 지평선에 떠 있는 허공처럼 보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살고 있는 그 자리, 우리가 어떤 무엇을 하든 진실함을 잃지 않는 그 자리가 바로 수행의 도량이라고 본다. 내가 지금 서 있는 이 자리를 벗어나 어디서 도량을 찾을 것인가? 현실 있는 그대로가 참됨(卽事而眞)이요, 이 현실을 떠나서 진리를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임제선사도 ‘가는 곳마다 주인이 되고 서는 곳마다 진리의 땅이 되게 하라(隨處作住 立處皆眞)’고 하였다. 즉 자신의 존재가치를 결정해 가면서도 현실 그대로에 적응하면서 그 자리에서 느끼는 진실된 자각이 자유(自由)라고 하였다.

재가자들의 삶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며, 미래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현재 서 있는 그 자리에서 만족하고 열심히 노력하는 진실된 자세가 삶의 완성이요,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멀리 있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아닌 늘 가까이 있는 가족, 매일 함께 일하는 직장 동료와의 진실한 인연이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 좋은세상함께만들기
글쓴이 : 수미산 원글보기
메모 :